본문 바로가기
통계

통계적품질혁신론 (2) 제품 검사에 의한 품질 개선

by JAMIE_J 2020. 5. 16.

1. 검사의 기본개념 (Inspection)

  • 제품 : 물리적 유형성을 갖는 모든 것
  • 프로세스 : 일을하는 과정
  • 로트(LOT) : 제품의 집합 (포장단위) 

*KSQ ISO 2859-1 에서 규정하는 검사 

: 물품의 품질특성치를 측정한 결과를 판정기준과 비교해서 물품에 대해서는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로트에 대해서는 합격/불합격 판정을 내리는 것.

 

2. 검사하는 방법

  • 전수검사
  • 샘플링검사

*전수조사를 할 수 있거나 해야하는 경우

  • 제품검사가 비파괴검사인 경우
  • 검사비용이 낮은 경우
  • 값비싼 귀금속인 경우
  • 불량품이 나옴으로써 사회적인 파장 및 손실이 큰 경우 ex)타이어

3. 샘플링 검사의 분류

①속성에 의한 분류

  • 속성형 샘플링 검사 (계수형)
    ex) 분필 강도가 기준 이상인지 이하인지 / 결점이 몇 개인지 등등 셀 수 있는 경우
  • 변량형 샘플링 검사 (계량형)
    --> 양, 무게 등의 값 자체를 이용하여 검사를 진행

②횟수에 의한 분류 (검사를 몇 번 하는가)

  • 1회검사  1회검사는 제품 1개를 검사하는 것이 아니다. 한 번 검사할 때 5개를 검사할지 10개를 검사할지 모르니 말이다.
  • 2회검사
  • 다회검사
  • 축차검사 - 한 번 검사할 때마다 하나씩 하나씩 검사

③검사형태에 의한 분류

  • 규준형
  • 선별형
  • 조정형
  • 연속형

④검사목적에 의한 분류

  • 수입검사
  • 출하검사
  • 중간검사

--> 검사방법은 위에서 열거한 것들을 조합해 사용한다
ex) 속성 규준형 1회 샘플링검사

 

샘플링검사는 이 밖에도 무수히 많다. 기업 자체에서 개발하여 사용하기도하고 지금도 계속해서 새 검사방법이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다.
그래서 모든 검사방법을 소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고, 그 중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
속성규준형 1회・2회 / 속성선별형 1회・2회 / 속성조정형 1회・2회 / 속성연속형 샘플링검사를 앞으로 다룰 예정이다.